쓸모 [명사] 1. 쓸만한 가치 2. 쓰이게 될 분야나 부분 다섯 살 때 친구를 따라 피아노 학원을 등록한 적이 있습니다. 갓 사귄 친구이긴 했어도 대부분의 시간을 함께하는 친구라 걔가 피아노 학원에 있는 동안 저는 할 게 없었기 때문이었죠. 그렇게 시작한 거긴 했어도 꽤 오랫동안 했습니다. 친구 따라 시작한 게 피아니스트를 꿈꾸게 되었고, 하루에 5-6시간씩 연습해야 피아니스트가 될 수 있단 말에 새벽에 일어나 연습하고 학교를 갈 정도였으니깐요. 중2 때까지 총 10년을 배운 건데 고등학교 입시를 앞두고 관두게 되었습니다. 쓸모가 없기 때문이었죠. 결국 피아니스트가 될 건 아니었으니깐요. 그런 건 배워서 뭐 하게? 그렇게 무언가를 시작할 때 쓸모를 따지기 시작했습니다. 영어는 대학교 입학할 때 필요하니..
뭐 때문인지 딱 꼬집어 이야기하긴 어렵지만, 평소에 잘하던 것도 잘 안 되는 때가 있습니다. 혹은 이쯤 되면 이제 잘할 법도 한데 여전히 어려운 것들도 있죠. 매일 반복하는 보고서 쓰기, 두괄식으로 요점만 말하기, 클릭과 구매를 부르는 카피 쓰기가 그렇습니다. '너는 왜 아직도 이 정도밖에 못하니?' 따위의 말을 들으면 몇 번은 속으로나마 받아치다가 어느 순간 한 없이 땅굴을 파며 '왜 난 아직도 이 정도일까'의 수렁으로 빠지게 되는 거죠. 특히 잘하고 싶은 것일수록 더욱 그렇습니다. 김연아의 환상적인 피겨 스케이팅을 보며 그녀를 질투한다거나 왜 우리는 김연아처럼 피겨 스케이팅을 잘하지 못할까 자책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녀의 성공적인 연기를 응원하고 열망하죠. 그렇지만 제가 하루의 절반 이상을 보내고 ..
'부자'를 떠올렸을 때, 단 한 번도 그게 '나'였던 적은 없다. 그게 어떤 모습이건 간에 상상 속에서조차 나는 부자가 아니었다. 믿음만으로 모든 게 이루어진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믿지 않으면 이뤄질 가능성은 '0'에 가깝다. 나는 단 한 번도 내가 부자가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하지 않았다. 부자가 되고 싶지 않은 건 아니었지만, 그렇다고 부자가 되고 싶다고 간절히 생각해본 적도 없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지금 부자가 아니다. 나에게 부는 일부러 좇아서는 안 되는 것이었다. 돈을 좇는 것은 속물적인 습성이며 언제나 돈이 아닌 다른 가치를 추구하는 것이 고귀하단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가능한 한 돈에 대한 언급은 피해왔고, 돈 버는 방법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해본 적이 없다. 회사를 다니면서 버는 월급과..
오늘은 잘나가는 핫한 기업의 CEO들이 어떻게 본인의 사업을 일으켰는지에 대해 적은 책, '하마터면 삼성갈 뻔했잖아'에 대해 리뷰해보려고 합니다. 이 책은 아이디어 모음집처럼 기업별에 대한 정리가 일목요연하게 되어 있습니다. 어디서 읽었는지는 기억나지 않지만, 꼭 요리를 잘해야만 레스토랑을 열고 영어를 잘해야 영어 학원을 여는 게 아니라는 글을 읽은 적이 있습니다. 대신에 레스토랑이 열고 싶다면 요리를 잘하는 셰프를 고용하고 영어 학원을 오픈하고 싶다면 마찬가지로 영어 잘하는 선생님을 초빙하면 된다고요. 대신 사업가라면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하고 최저 비용으로 최고 수익을 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고민하면 된다고 하더군요. 그 글을 읽고 속으로 꽤 충격을 받았던 기억이 납니다. 첫 번째로 그동안은 어떤 ..